2월 24일 코스피·코스닥 마감 시황: 코스피 하락, 코스닥 낙폭 축소

2025. 2. 24. 17:36주식

728x90
반응형

 

코스피 시장 마감 시황

2월 24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9.31포인트(-0.35%) 하락한 2,645.27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미국 경제지표 부진 속 경기 둔화 우려와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 소식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면서,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로 인해 하루 만에 반락했습니다.

장중 흐름

  • 코스피는 2,636.12(-0.70%)로 하락 출발한 후 장 초반 낙폭을 줄이며 2,644선까지 회복했으나, 다시 낙폭을 확대하며 2,626.88(-1.0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습니다.
  • 오후 들어 점차 낙폭을 줄이며 2,638선 부근에서 움직였고, 장 후반 낙폭을 더욱 축소하며 2,645.27에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주요 이슈 및 경제지표

  • 미국 2월 S&P 서비스업 PMI 예비치가 49.7을 기록하며 경기 위축 기준선인 50을 하회, 예상치(52.8)보다 크게 부진.
  • 2월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64.7로 하향 조정되며 23년 11월 이후 최저치 기록.
  • 미국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1년 기대 인플레이션 4.3%(전월 3.3%), 5년 기대 인플레이션 3.5%(전월 3.2%)로 상승.

 

수급 현황

  • 외국인: 2,000억 원 순매도 (3거래일 연속 순매도)
  • 기관: 922억 원 순매도 (하루 만에 순매도 전환)
  • 개인: 1,927억 원 순매수 (3거래일 연속 순매수)

 

업종 및 주요 종목 동향

  • 반도체 관련주 하락: 삼성전자(-1.55%), SK하이닉스(-2.15%), 한미반도체(-4.72%)
  • 전력설비 테마 하락: HD현대일렉트릭(-5.73%), LS ELECTRIC(-3.99%)
  • 2차전지 테마 상승: 삼성SDI(+6.70%), LG에너지솔루션(+1.85%), 포스코퓨처엠(+5.01%)
  • 해운/종합물류 테마 상승: HMM(+7.12%), 현대글로비스(+5.38%)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진원생명과학(+9.78%)

 

환율 및 채권 시장

  • 원·달러 환율: 1,427.4원 (-6.4원)
  • 국고채 3년물 금리: 2.610% (-0.8bp)
  • 국고채 10년물 금리: 2.825% (-3.1bp)

 

코스닥 시장 마감 시황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1.32포인트(-0.17%) 하락한 773.33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경제지표 부진 및 중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 소식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했으나,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순매수로 낙폭을 대부분 만회했습니다.

 

장중 흐름

  • 코스닥은 766.94(-1.00%)로 하락 출발한 뒤 장 초반 낙폭을 키우며 764.48(-1.31%)에서 저점을 기록.
  • 이후 낙폭을 축소하며 오후 들어 769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장 막판 773.51(-0.1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773.33에서 마감.

 

수급 현황

  • 외국인: 1,072억 원 순매도
  • 기관: 1,277억 원 순매도 (3거래일 연속 순매도)
  • 개인: 2,423억 원 순매수

 

업종 및 주요 종목 동향

  • 반도체 관련주 하락: 리노공업(-1.10%), HPSP(-4.00%), ISC(-6.01%)
  • 가상화폐 관련주 하락: TS인베스트먼트(-9.12%), 티사이언티픽(-6.46%)
  • 2차전지 테마 상승: 에코프로비엠(+2.47%), 대주전자재료(+6.46%), 나노신소재(+6.44%)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수젠텍(+10.69%), 랩지노믹스(+6.02%), 씨젠(+2.96%)
  • 신규 상장주 급등: 위너스(+300.00%) (올해 첫 따따블 기록)

 

총평

2월 24일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은 미국 경제지표 부진과 중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소식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다만,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순매수로 인해 장중 낙폭을 줄이며 마감한 것이 특징이다. 반도체 관련주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2차전지 및 코로나19 관련주는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 내 반등 요인을 제공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