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일 코스피 & 코스닥 마감 시황: 무역협상 기대감에 반등… AI·바이오 강세, 자동차·2차전지 약세

2025. 5. 2. 17:17주식

728x90
반응형

 

 

코스피 시장 마감 시황

5월 2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18포인트(+0.12%) 상승한 2,559.79에 마감했습니다.

시작과 흐름

  • 2,556.52(-0.00%)로 약보합 출발
  • 오전 중 2,540.57(-0.63%)에서 저점 형성 후 반등
  • 오후 들어 2,567.04(+0.41%)까지 고점 확대
  •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며 2,559.79에서 마감

수급 요인

  • 기관: 3,025억 원 순매수 (3거래일 만에 매수 전환)
  • 외국인: 1,668억 원 순매도 (2거래일 연속)
  • 개인: 2,148억 원 순매도 (하루 만에 전환)
  • 선물시장: 개인 2,620계약 순매수 / 외국인·기관 각각 순매도

주요 이슈

  • MS·메타 실적 호조 → 기술주 투자심리 회복
  •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강화
  • SK하이닉스(+4.79%) 급등, AI 반도체 기대감 반영
  • 조선주 및 화장품주 강세
  • 삼성전자(-2.16%) 외국인 매도세에 하락, 자동차·2차전지 약세

업종 및 주요 종목

  • 강세 업종: 제약(+1.84%), 통신(+1.25%), 증권(+0.63%)
  • 약세 업종: 종이/목재(-1.93%), 기계/장비(-1.33%), 건설(-0.53%)
  • 시총 상위 상승: SK하이닉스(+4.79%), 삼성바이오로직스(+3.14%)
  • 시총 상위 하락: 삼성전자(-2.16%), 현대모비스(-4.11%)

기타 지표

  • 환율: 1,405.3원 (-21.6원)
  • 국채 금리: 3년물 2.282%(+1.5bp), 10년물 2.593%(+3.0bp)
  • 국채선물: 3년 -6틱(107.80), 10년 -28틱(121.05)

코스닥 시장 마감 시황

5월 2일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62포인트(+0.64%) 상승한 721.86에 마감했습니다.

시작과 흐름

  • 716.60(-0.09%)로 약보합 출발
  • 오전 중 714.07에서 저점 형성 후 상승 전환
  • 오후 한때 723.77(+0.91%)까지 상승 후 일부 반납

수급 요인

  • 외국인: 799억 원 순매수 (하루 만에 전환)
  • 기관: 660억 원 순매수
  • 개인: 1,464억 원 순매도

주요 이슈

  •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 외국인·기관 동반 매수
  • 제약/바이오 반등: 펩트론(+4.29%), 에이비엘바이오(+3.99%)
  • 엔터·화장품 테마 강세: 에스엠(+2.91%), 삐아(+4.45%)
  • 정치 테마주 등락: 아이스크림에듀(+21.02%) 급등 vs. 오리엔트정공(-15.36%) 급락

업종 및 주요 종목

  • 강세 업종: 일반서비스(+1.64%), 제약(+1.42%), 섬유/의류(+1.07%)
  • 약세 업종: 건설(-2.81%), 종이/목재(-1.74%), IT 서비스(-1.20%)
  • 시총 상위 상승: 리가켐바이오(+3.05%), 에코프로비엠(+2.96%)
  • 시총 상위 하락: 코오롱티슈진(-4.20%), 에코프로(-1.57%)

네줄요약

  • 코스피는 무역협상 기대감과 AI 관련 투자심리 회복으로 반등했으나, 외국인·개인의 매도세와 연휴 관망세로 상승폭은 제한됐습니다.
  • 코스닥도 제약·바이오, 엔터, 화장품주 중심으로 반등에 성공했지만, 일부 정치 테마주 급락과 개인 차익 실현으로 제한적인 흐름이었습니다.
  • AI 반도체, 美 기술주 실적 개선, 미·중 대화 재개 가능성 등은 당분간 시장의 긍정적 촉매가 될 수 있습니다.
  • 연휴 이후 발표될 美 고용지표, FOMC 회의록 등이 글로벌 증시 향방을 가를 주요 이벤트로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