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8일 코스피 & 코스닥 마감 시황: 美中 관세 협상 기대감에 이틀 연속 동반 상승

2025. 4. 18. 17:49주식

728x90
반응형

 

 

코스피 시장 마감 시황

4월 18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01포인트(+0.53%) 상승한 2,483.42에 마감했습니다.

시작과 흐름

  • 2,473.30(+0.12%)으로 강보합 출발
  • 장중 2,466.90(-0.14%)까지 저점 형성
  • 이후 상승세 전환, 장막판 2,486.37(+0.65%)까지 고점 기록
  • 최종적으로 2,483.42에서 마감

수급 요인

  • 기관: 816억 원 순매수 (2거래일 연속 / 연기금 16일 연속 매수)
  • 외국인: 1,043억 원 순매도 (6거래일 연속)
  • 개인: 314억 원 순매도
  • 선물시장: 외국인 3,968계약 순매수 / 기관·개인 순매도

주요 이슈

  • 美/中 관세 협상 진전 기대감 부각 → 트럼프 “추가 관세 없다” 언급
  • ECB 금리 인하 발표 →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 기대
  • 해운·자동차·원자력 등 정책 및 업황 기대 업종 강세
  • 중국 LNG 수입 중단 및 미국 해운 제재 발표로 무역 갈등 우려 상존

업종 및 주요 종목

  • 상승 업종 다수: 기계/장비(+3.23%), 운송/창고(+1.79%), 금융(+0.97%), IT서비스(+1.28%) 등
  • 하락 업종: 금속(-0.70%), 제약(-0.66%), 의료정밀(-0.33%)
  • 상승 주요 종목
    • 자동차: 현대차(+3.03%), 기아(+2.71%), 현대모비스(+2.10%)
    • 금융: KB금융(+2.62%), 하나금융지주(+1.91%)
    • 원자력: 한전기술(+9.08%), 두산에너빌리티(+6.13%)
    • 해운: 현대글로비스(+5.44%), 동방(+4.97%)
    • 대형 플랫폼: NAVER(+2.12%), 카카오(+2.09%)
  • 하락 주요 종목
    • LG에너지솔루션(-1.31%), 셀트리온(-1.13%), 삼성바이오로직스(-0.94%) 등 바이오 대형주

기타 지표

  • 달러-원 환율: 1,423.3원 (+6.7원)
  • 국고채 금리
    • 3년물: 2.362%(-2.3bp)
    • 10년물: 2.620%(-2.5bp)
  • 국채선물
    • 3년물: +12틱(107.61), 외국인 순매수
    • 10년물: +33틱(120.85), 외국인 순매수

코스닥 시장 마감 시황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6.02포인트(+0.85%) 상승한 717.77에 마감했습니다.

시작과 흐름

  • 713.52(+0.25%)로 상승 출발
  • 오전 중 708.20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상승 전환
  • 장막판까지 상승폭 확대하며 고점에서 마감

수급 요인

  • 개인: 321억 원 순매수 (하루만에 매수 전환)
  • 기관: 122억 원 순매수 (2거래일 연속 순매수)
  • 외국인: 213억 원 순매도

주요 이슈

  • 美/中 협상 기대감 + 글로벌 휴장 앞둔 관망 속 기술주 강세
  • 일라이 릴리 비만 치료제 임상 3상 통과 → 국내 관련주 급등
  • AI/웹툰 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지속

업종 및 주요 종목

  • 상승 업종 다수: 일반서비스(+3.22%), 운송/창고(+2.93%), 오락/문화(+1.72%), 제약(+0.80%) 등
  • 하락 업종: 종이/목재(-0.16%), 화학(-0.02%)
  • 상승 주요 종목
    • 비만 치료제: 아이큐어(+17.26%), 디앤디파마텍(+16.47%), 펩트론(+11.04%)
    • 제약/바이오: 알테오젠(+4.52%), 보로노이(+6.33%)
    • 콘텐츠/AI: 팬스타엔터프라이즈(+29.97%), 엑스페릭스(+29.87%), 나우IB(+26.89%)
  • 하락 주요 종목
    • HLB(-1.96%), 셀트리온제약(-1.67%), 에코프로비엠(-1.03%), 휴젤(-0.73%) 등

네줄요약

  • 美/中 관세 협상 진전 기대감에 코스피·코스닥 모두 이틀 연속 상승
  • 자동차·원전·AI·바이오 등 테마 업종 중심으로 강세 지속
  • 외국인 매도세는 이어졌으나 기관·개인 매수로 지수 방어
  • 향후 글로벌 협상 진척 상황과 환율 변동, 정책 테마 지속 여부가 주요 변수
728x90
반응형